Canalblog
Editer l'article Suivre ce blog Administration + Créer mon blog
Publicité
Santé
4 décembre 2012

Q&A 이성과 경험

Q&A이성과 경험: 데카르트적 합리주의와 베이컨적 경험주의

 

경험때..(질문) - Daum 지식

 

k.daum.net ›지식 고민상담 청소년고민상담 - 저장된 페이지

공개적으로 +1했습니다. 실행취소

 

분류:10대 성고민

 

작성일:2006년 10월 27일

 

답변:20살입니다. 성경험이 없어서 궁금한점이 많습니다. 비방은 하지 마세요. ... 1. 처녀의 질은 손가락 2개 들어가기도 버거운데, 발기한 남자의 그것은 ...

 

 

20살입니다.

 

성경험이 없어서 궁금한점이 많습니다.

 

비방은 하지 마세요. 제가 혼전섹스를 하느냐 안하느냐가 달려있습니다.

 

정확히 대답해주세요. 내공드릴께요.

 

 

 

1. 처녀의 질은 손가락 2개 들어가기도 버거운데, 발기한 남자의 그것은 엄청 굵지 않나요?

 

도대체 얼마정도 굵은건가요? 그리고 들어가기 어려워하나요?

 

2. 쿠퍼액이 뭔가요?

 

3. 여자가 첫경험을 할때 엄청나게 아프다던데.. 얼만큼 아픈가요? (여자분이 대답하시길..)

 

후회 할만큼? 막 찢어지는듯하거나, 죽을만큼 아프다던데요?.. (지식in을 보니..);;

 

4. 남자의 그곳을 여자가 꼭 입으로 빨아야 하나요?;;

 

더럽고.. 털도 있는데;; 손으로 해줘도 발기 하지 않아요?

 

5. 남자가 질에 삽입할때 뜨겁고 딱딱한게 들어오는 느낌 이라던데, 그런가요?

 

6. 항문섹스는 왜 하는건가요? 더럽고, 치질도 걸리고, 질이 있는데..

 

7. 여자의 음모를 보면 남자는 싫어하나요? 좋아;;하나요?

 

8. 섹스의 자세중에 남자가 서있고 여자가 누워서 다리를 드는걸 많이하나요?

 

어떤게 제일 아픈가요?

 

9. 남자가 사정하면 정액이 얼만큼 나오나요?

 

10. 남자의 대부분이 일주일에 여러번 자위행위를 한다던데.. 진짜예요?;

 

11. 성교할때 '피스톤 운동'을 하는것같은데, 넣고만 가만히 있지는 않아요?

 

12. 성교할때 소리들을 많이 내나요?

 

13. 남자들은 처녀의 그 '조임'을 좋아하는거지요?;;

 

14. 생리때 어떻게 섹스를 해요??;;; 피가 나오는데도 하고싶은건가요?

 

콘돔끼고 젖어있다고 하는건가요?.. 도저히 이해가 안가요..

 

 

 

14.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성교를 하고싶어도 참고 지켜주는 사람인가요?

 

15. 혼전섹스를 반대하신다면 이유를 써주세요..

 

 

 몇개만이라도 성의껏 대답해주시길 바랍니다.

 

 

토론 검색결과 더보기

 

종아리나 엉덩이 회초리로 맞은 경험 좀 써주세요. - Daum 지식

 

k.daum.net ›지식 어린이 지식 - 저장된 페이지유사한 페이지

공개적으로 +1했습니다. 실행취소

 

분류:컴퓨터,인터넷

 

작성일:2008년 10월 15일

 

답변:시험점수가 많이 떨어져서 중학교때와 고등학교 때 큰누나한테 매로 엉덩이 맞은 적이 있습니다. 큰 누나가 저를 바지와 팬티를 다 벗게하고 엉덩이를 ...

 

 

종아리나 엉덩이 회초리로 맞은 경험 좀 써주세요. 실제로 있었던

 

 

시험점수가 많이 떨어져서 중학교때와 고등학교 때 큰누나한테 매로 엉덩이 맞은 적이 있습니다.

 

큰 누나가 저를 바지와 팬티를 다 벗게하고 엉덩이를 굵은 나무 몽둥이로 몇 십대씩 때렸거든요. 

 

저는 매 맞은 다음에 거실에서 벽을 등지고 차렷자세로 아래에 옷 다 벗은채로 벌로 한 시간씩 서 있었어요. 큰누나가 저보다 10살 더 많은데 제 성적표 검사는 큰 누나 소관이었거든요. 거실에서 벌로 서 있는 동안 큰누나 보는 앞에서 제 거시기가 발기해서 무지하게 챙피했던 기억이 납니다.

물론 매 맞은 데도 많이 아팠고요. 제 작은 누나는 저보다 두 살 더 많은 데 제 작은 누나도 제 큰 누나한테 매 맞은 적이 여러 번 있어요.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이 작은 누나가 고2때 학원 땡때이 쳤다가 큰 누나한테 걸려서 무지하게 혼 난적이 있어요. 큰 누나가 작은 누나 아랫도리를 팬티까지 다 벗게 해서 엉덩이를 굵은 나무몽둥이로 엄청 세게 50대 정도를 때려서 작은 누나 엄청 많이 울고 작은 누나는 매 맞은 다음에 거실에서 벽을 등지고 발가벗고 차렷자세로 벌로 1시간 서 있었어요.

작은 누나한테는 무지하게 미안한 이야기지만 저는 그 때 작은 누나의 알몸을 보고 무지하게 흥분되었던 생각이 나요. 우리 아빠가 엄마하고 이혼하고 우리 집에는 아빠랑 큰누나,작은 누나, 저 이렇게 4명이서 사는데 아빠는 사업 때문에 워낙 바쁘셔서 출장도 자주 가시고 해서 집에 안 들어 오시는 날도 많고 해서 큰누나가 저랑 작은누나한테는 누나나 언니가 아니고 엄마나 다름 없어요.

 

 

 

The Five Stages of Grief

 

 

Elisabeth Kübler-Ross & David Kessler

 

 

Denial, Anger, Bargaining, Depression and Acceptance

 

The stages have evolved since their introduction and they have been very misunderstoo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They were never meant to help tuck messy emotions into neat packages. They are responses to loss that many people have, but there is not a typical response to loss as there is no typical loss. Our grief is as individual as our lives.

 

The five stages, denial, anger, bargaining, depression and acceptance are a part of the framework that makes up our learning to live with the one we lost. They are tools to help us frame and identify what we may be feeling. But they are not stops on some linear timeline in grief. Not everyone goes through all of them or in a prescribed order. Our hope is that with these stages comes the knowledge of grief ’s terrain, making us better equipped to cope with life and loss.

 

 

Denial

 

 

This first stage of grieving helps us to survive the loss. In this stage, the world becomes meaningless and overwhelming. Life makes no sense. We are in a state of shock and denial. We go numb. We wonder how we can go on, if we can go on, why we should go on. We try to find a way to simply get through each day. Denial and shock help us to cope and make survival possible. Denial helps us to pace our feelings of grief. There is a grace in denial. It is nature’s way of letting in only as much as we can handle.

 

As you accept the reality of the loss and start to ask yourself questions, you are unknowingly beginning the healing process. You are becoming stronger, and the denial is beginning to fade. But as you proceed, all the feelings you were denying begin to surface.

 

 

Anger

 

 

Anger is a necessary stage of the healing process. Be willing to feel your anger, even though it may seem endless. The more you truly feel it, the more it will begin to dissipate and the more you will heal. There are many other emotions under the anger and you will get to them in time, but anger is the emotion we are most used to managing. The truth is that anger has no limits. It can extend not only to your friends, the doctors, your family, yourself and your loved one who died, but also to God. You may ask, “Where is God in this?

 

Underneath anger is pain, your pain. It is natural to feel deserted and abandoned, but we live in a society that fears anger. Anger is strength and it can be an anchor, giving temporary structure to the nothingness of loss. At first grief feels like being lost at sea: no connection to anything. Then you get angry at someone, maybe a person who didn’t attend the funeral, maybe a person who isn’t around, maybe a person who is different now that your loved one has died. Suddenly you have a structure – - your anger toward them. The anger becomes a bridge over the open sea, a connection from you to them. It is something to hold onto; and a connection made from the strength of anger feels better than nothing.We usually know more about suppressing anger than feeling it. The anger is just another indication of the intensity of your love.

 

 

Bargaining

 

 

Before a loss, it seems like you will do anything if only your loved one would be spared. “Please God, ” you bargain, “I will never be angry at my wife again if you’ll just let her live.” After a loss, bargaining may take the form of a temporary truce. “What if I devote the rest of my life to helping others. Then can I wake up and realize this has all been a bad dream?”

 

We become lost in a maze of “If only…” or “What if…” statements. We want life returned to what is was; we want our loved one restored. We want to go back in time: find the tumor sooner, recognize the illness more quickly, stop the accident from happening…if only, if only, if only. Guilt is often bargaining’s companion. The “if onlys” cause us to find fault in ourselves and what we “think” we could have done differently. We may even bargain with the pain. We will do anything not to feel the pain of this loss. We remain in the past, trying to negotiate our way out of the hurt. People often think of the stages as lasting weeks or months. They forget that the stages are responses to feelings that can last for minutes or hours as we flip in and out of one and then another. We do not enter and leave each individual stage in a linear fashion. We may feel one, then another and back again to the first one.

 

 

Depression

 

 

After bargaining, our attention moves squarely into the present. Empty feelings present themselves, and grief enters our lives on a deeper level, deeper than we ever imagined. This depressive stage feels as though it will last forever.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is depression is not a sign of mental illness. It is the appropriate response to a great loss. We withdraw from life, left in a fog of intense sadness, wondering, perhaps, if there is any point in going on alone? Why go on at all? Depression after a loss is too often seen as unnatural: a state to be fixed, something to snap out of. The first question to ask yourself is whether or not the situation you’re in is actually depressing. The loss of a loved one is a very depressing situation, and depression is a normal and appropriate response. To not experience depression after a loved one dies would be unusual. When a loss fully settles in your soul, the realization that your loved one didn’t get better this time and is not coming back is understandably depressing. If grief is a process of healing, then depression is one of the many necessary steps along the way.

 

 

Acceptance

 

 

Acceptance is often confused with the notion of being “all right” or “OK” with what has happened. This is not the case. Most people don’t ever feel OK or all right about the loss of a loved one. This stage is about accepting the reality that our loved one is physically gone and recognizing that this new reality is the permanent reality. We will never like this reality or make it OK, but eventually we accept it. We learn to live with it. It is the new norm with which we must learn to live. We must try to live now in a world where our loved one is missing. In resisting this new norm, at first many people want to maintain life as it was before a loved one died. In time, through bits and pieces of acceptance, however, we see that we cannot maintain the past intact. It has been forever changed and we must readjust. We must learn to reorganize roles, re-assign them to others or take them on ourselves.

 

Finding acceptance may be just having more good days than bad ones. As we begin to live again and enjoy our life, we often feel that in doing so, we are betraying our loved one. We can never replace what has been lost, but we can make new connections, new meaningful relationships, new inter-dependencies. Instead of denying our feelings, we listen to our needs; we move, we change, we grow, we evolve. We may start to reach out to others and become involved in their lives. We invest in our friendships and in our relationship with ourselves. We begin to live again, but we cannot do so until we have given grief its time.

 

At times, people in grief will often report more stages. Just remember your grief is an unique as you are.

 

 

이성과 경험: 데카르트적 합리주의와 베이컨적 경험주의

 

 

고대에 각각 따로 시작된 이 두 가지 견해는 중세를 통해서 다 존재했으며, 중세 기독교의 압도적인 힘에도 불구하고 성서적 자연관이 합리주의적 자연관을 완전히 이겨내지는 못했다. 두 가지는 서로 타협 관계에서 평형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과학혁명은 이같은 평형상태를 깨고 성서적 자연관이 합리주의적 자연관을 대체해 낸 것을 가리킨다는 것이 호이카스의 견해이다. 그리고 이같은 대체의 과정을 호이카스는 자연에 대한 지식에 있어서의 이성(reason)과 경험(experience)의 역할 사이의 상호관계에서 살피고 있다. 우선 과학혁명기에는 종교와의 관련과는 별도로 이미 경험적 지식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퍼져 있었다. 그간 받아들여 온 합리주의적 경향에 구애받지 않고 경험적으로 얻어진 실제 지식들을 받아들이는 태도가 항해사, 천문가, 기술자, 장인들 사이에 널리 퍼wu 있었다. 호이카스가 '베이컨적 경험주의'(Baconian Empiricism)라고 부른 이 경향은 점차 많은 과학자들도 받아들이게 되었고, 이에 따라 그들은 외부 자연 세계를 합리적으로 완전히 설명할 수 있다는 생각을 포기하고 경험적인 실제 지식을 받아들이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다.

 

 

 

뉴튼

 

이같은 경험주의적 경향은 14세기경부터 중세기독교사회에 대두했던 주의론적 신학(Voluntarist theology)으로부터 크게 지원을 받았다. 그 자체가 중세 스콜라 학풍의 철학과 과학에 있어서의 지나친 합리주의적 색채에 대한 반발로 신의 전능성을 재천명함으로써 대두한 이 주의론적 신학은 17세기에 다시 맹위를 떨쳤고, 그것에 영향받은 사람들은 인간의 이성과 합리적 사고능력에 의해서만 자연세계를 이해하려는 합리주의적 자연관에 반대해서 전능한 신은 인간의 합리적 사고의 수준을 넘는 일도 얼마든지 일으킬 수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물론 자연세계에는 신이 마련해 준 질서와 법칙들이 있고 인간이 합리적 사고에 의해 그것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신은 자연 세계에 그렇지 못한 일도 빌어나게 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자연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인간에게 합리적으로 보이지 않더라도 일단은 받아들여야 한다는 경험주의적 자연관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이미 존재해 있던 경험주의적 색채와 서로 합류해서 과학혁명기의 자연관의 주된 조류가 되었으며, 당초에는 주의론적 신학에서 출발했으나 결국 합리주의적으로 흐르고만 데카르트적 합리주의를 이겨내고, 궁극적으로 과학혁명의 결과로 태어난 새로운 과학의 자연관으로 받아들여졌던 것이다. 파스칼, 보일, 뉴튼 등은 모두 이같은 경향을 보여주는 과학혁명기 과학자들의 좋은 예들이다.

 

 

 

 

日本 애니메이션의 대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만화영화『하울의 움직이는 성』은
『젊은 꽃 미남 마법사 하울에게 마음을 빼앗긴 죄』로 마녀의 저주를 받아
하루 아침에 18세 꽃다운 소녀에서 90세 노파로 변해버린
소피라는 여성의 이야기이다.

자고 일어났더니, 18세 소녀에서 90세 노파로 변해 있다니!
이는 누구에게나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절망적인 상황일 것이다.
거울로 하루아침에 늙어 버린 자신을 발견한 소피!
처음에는 무척 놀란다.
하지만 그녀는 곧 자기 스스로를 달래기 시작한다.

“이게 정말 나야?”, “침착해야 돼”, “진정해, 동동 굴러도 소용없어”

18세 소녀가 젊음과 미모를 상실한 것은
여자로서 그녀 인생, 모든 것을 잃은 것과 다름없는 일!
이처럼 人生에서 소중한 것을 상실했을 때
우리는 심리적으로 다음 4단계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첫째, ‘부정(denial)'의 단계이다.
마치 두려운 것을 보면 무의식적으로 눈을 감는 것처럼,
정신적으로도 눈을 질끈 감아버리는 것이다.
"이건 나에게 일어난 일이 아냐. 난 지금 꿈을 꾸고 있는 거라고”

만약 그것이 심각한 병이라면
“이건 오진이 틀림없어, 다른 병원에 가 봐야지, 뭔가 결과가 잘못 나온 거라고” 와 같은 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증상이 심해지면 정신적인 마비 상태에 빠져
아무 것도 생각할 수 없고 또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상태에 빠지게 된다.

둘째, ‘분노(anger)’의 단계이다.
상황이 끔찍하다고 해서 언제까지 눈을 감고 있을 수는 없다.
그래서 눈을 뜨고 현실을 보면 이번에는 심한 분노를 느낀다.
“내가 뭘 잘못했지? 왜 하필이면 나야!”
“내가 얼마나 열심히 살았는데, 내가 얼마나 열심히 일했는데”
그리고 세상과 주위 사람들에 대한 분노의 불길에 사로잡히고 만다.

정신적으로 매우 성숙한 극소수의 사람들을 제외하고,
이 감정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따라서 작은 일에 화내고 원망하며, 심지어 충동적인 행동도 서슴지 않는 데,
이렇게 어린애와 같은 단계로 후퇴하는 것. 이것을 퇴행(regression)이라고 한다.
술 마시고 주사를 부리는 것, 물건을 부수는 것,
그리고 남들에게 시비를 거는 행동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타협)


셋째는 ‘우울(depression)’의 단계이다.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
자기 자신에 대한 무기력감과 무가치감,
그리고 세상과 사람들에 대한 원망 등이 뒤엉켜 우울감에 빠지게 된다.
자포자기해서 술이나 도박에 빠지거나, 자살을 시도하는 경우도 있다.
하루 종일 먹지도 않고, 자지도 않거나,
반대로 하루 종일 잠만 자는 행동을 보인다.
"난 이제 끝장이야, 나에게는 희망이 없어”라는 생각에
주위의 어떤 이야기에도 마음을 열지 않고 마음을 굳게 닫아 버린다.

마지막, 넷째는 ‘수용(acceptance)’의 단계이다.
힘들지만 자신에게 일어난 일을 받아들이고,
그 해결 방법을 찾아 나서는 단계이다.
“그래, 내가 가지고 있던 것은 다 잃었지만,
그래도 사랑하는 가족이 있잖아. 다시 한번 해보자 ”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나에겐 또 한 번의 기회가 있을 거야! 뭔가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자”......
처럼 말이다.
문제는 이 네 번째 단계까지 올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으며,
설사 온다고 해도 거기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무척 길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영화의 주인공 소피는
18세의 소녀에도 불구하고, 어른들도 잘 극복하지 못하는 이러한 상황을,
문제가 일어난 순간, 즉시 받아들인다.
"그래 나는 90세로 변했어, 놀라지 말자"
"이건 나에게 일어난 일이야, 방법을 찾아보자”

그러면서 소피는 주어진 현실에서 자신이 누릴 수 있는 것들을 찾아낸다.
“늙어서 좋은 건 잃을 게 더 없다는 점이지.”
“나이 들어 좋은 건 놀랄 게 없다는 거야.”

그리고, 자기가 사랑하는 남자에게도 나이든 여자로서 해줄 것들을 찾는다.

불안과 두려움에 힘겨워 하는 그를 위로하고,
자기가 가장 잘하는 청소를 해서 집안을 깨끗이 치워놓으며
두려움에 떨며 왕궁에 가지 못하는 그를 대신해서 그의 입장을 전하러 가는 등, 90세 나이의 노파가 사랑하는 남자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사랑을 보여준다.

즉, 자기가 이미 잃어버린 것에 대해 연연해 하는 대신,
현재 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고, 그 것을 실행에 옮기는 것이다.
그런 그녀가 사랑의 승리자가 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지 않겠는가.

요즘 실천력이 강조되고 있다.
‘구슬이 서 말 이라도 꿰여야 보배’라는 속담처럼
아무리 훌륭한 아이디어도 실천력이 없으면 단지 공상에 지나지 않는다.

이 실천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절망의 상태에서 부정하거나 분노하거나
우울에 빠져 있는 것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직시하면서,
자신이 이미 잃어버렸거나 혹은 현재 갖고 있지 못한 것에 대한 미련을 버려라.
대신 현재 자기에게 남아있는 것을 직시하고 그것을 키워 나가야 한다.

요즘처럼 어렵고 절망적인 목소리가 높은 때에
용감한 소녀 소피를 통해서 우리가 가야할 길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

==

아~! 이래서 일본 애니메이션이 흥행하는 군!

왜 일본은 애니메이션을 선택하는가?

 

굳이... 사람이...그런 이야기를...오브제...충분한...

 

==

니 들!  시집가서 애들 성적 떨어지거나 말 안들으면 어쩔거야?

안 때릴 자신 있어?

5, 6, 7 번 너무 대박 알고싶다! 난 사람인가 애니메이션 캐릭터 인가?

누구 자식인지 거참 물건일세... 아주 멍충이는 아닐듯. 근데 그런건 어디서 배웠냐? 일반적으로 질문하는 것은 어느 정도 사전 지식이 있어야 되는데, 전혀 모르면 질문 자체를 못하는데.

 

몇 번 질문?

이성 파트너에게 물어봐.

그래도 서로 좋다고 참으면서 한단다. 나도 아직 잘 모르지만... (어느 순간 이런게 재미있다는 생각이 든다) 넌 안 그러니?

= 늦은 감이 있지만, 신선해서 보류...

 

 

Publicité
Publicité
Commentaires
Santé
Publicité
Archives
Publicité